아파트에서 방 구조가 작은방/화장실/안방 이라고 할 때, 아래층에서 화장실 천장을 ...
Criado em: 6 de junho de 2025
Criado em: 6 de junho de 2025
아파트에서 방 구조가 작은방/화장실/안방 이라고 할 때, 아래층에서 화장실 천장을 열고 작은방과 가까운 천장 시멘트에 25w 진동스피커를 부착해서 소음 음원을 재생하면 위층 작은방 화장실쪽 벽에서(수도배관이 여기있음) 당연하게도 소음이 아주 잘 들려. 그런데 윗층 안방에서도 소음이 작은방 만큼은 아니지만 들린단 말이지. 화장실과 안방을 가르는 벽엔 수도배관이 없는데 왜 소음이 꽤 들리는 걸까? 그리고 막는다면 방법은?
구조 전달음(Structure‑borne sound) + 플랭킹(Flanking) 경로
저주파 특성
단계 | 핵심 조치 | 설명 |
---|---|---|
1. 진원(아랫집) 억제 | ‑ 스피커 아래 고무/스프링 아이솔레이터 <br>‑ 진동패드 + 모래 채운 받침대 | 구조로 전달되는 에너지를 1차 차단하면 상·하층 모두에게 가장 효과적입니다. (협의 + 설치비 공유 권유) |
2. 천장 보강 (가장 효과적) | ‑ 방진 클립(Resilient clip) + 2겹 석고보드 + 댐핑 컴파운드(예: 그린글루) <br>‑ 보강 부분과 기존 슬래브 사이 1 cm 이상 틈(데커플링) | 슬래브와 새 천장 사이를 탄성체로 분리해 구조 전달음을 절연. STC/Ln,w 수치를 10 dB 이상 개선 가능. youtube.com commercial-acoustics.com |
3. 벽체 보강 (화장실‑안방 경계) | ‑ 벽 타설이 어렵다면 독립 경량 스터드+흡음재(준불연 글라스울 50 kg/㎥)+이중 석고보드·댐핑 | 슬래브에서 우회해온 진동이 벽면에서 공기로 방사되는 것을 줄임. |
4. 배관·틈새 처리 | ‑ 배관 덕트·전선관 주위 방화/음향 실런트 <br>‑ 문짝 하부 자동 하부시트(auto‑drop seal) | 작은 틈도 저주파 누음을 내보냅니다. 공기 누설 ≒ 소리 누설. |
5. 실내 보조책 | ‑ 책장·옷장·흡음패널 배치로 반사 감소·잔향 제어 <br>‑ 화이트노이즈, 팬 소음으로 마스킹 | 구조 변경이 어려울 때 체감 개선용. |
시공 순서 팁
(1) 아래층 진동원 억제가 최선 → (2) 윗집 천장 방진·데커플링 → (3) 벽체·틈새 → (4) 실내용 마스킹 순으로 접근하면 비용 대비 효율이 높습니다.
벽체를 ‘더 두껍게’ 만드는 것만으로는 구조 전달음을 막기 어렵고, ‘질량 + 분리 + 댐핑’ 세 가지를 동시에 충족해야 체감이 확실히 줄어듭니다. 필요하면 방음 전문업체의 현장 진동진단(가속도계, 진동속도계)을 받아 구체적 공법·견적을 비교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