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우퍼를 휴대폰에 연결하는 것과 사운드바나 앰프에 연결해서 20~30hz 저주파 대역대...
創建於:2025年6月2日
創建於:2025年6月2日
서브우퍼를 휴대폰에 연결하는 것과 사운드바나 앰프에 연결해서 20~30hz 저주파 대역대를 재생하는 것의 음질 또는 볼륨 크기면에서 차이가 있는지
핵심은 신호-레벨과 구동(앰프) 능력입니다.
연결 방법 | 전달되는 신호 | 20 ~ 30 Hz 재생 시 한계 | 체감 볼륨 |
---|---|---|---|
휴대폰 직접 연결<br>(이어폰/헤드폰 출력 → 서브우퍼의 AUX IN) | 헤드폰 출력(약 1 Vrms 이하, 고임피던스 설계) | 1) 일부 스마트폰은 초저음(20 Hz 부근)을 소프트웨어/하드웨어 필터로 살짝 깎아내어 클리핑-보호를 합니다.<br>2) 출력 전압·전류가 작아 입력 감도가 낮은 서브우퍼(특히 프로용)에서는 볼륨이 충분치 않을 수 있습니다.<br>3) 휴대폰 DAC·앰프가 작은 노이즈·왜곡을 낼 수도 있습니다. | 낮거나 충분치 않을 가능성 — 서브우퍼 게인을 많이 올려야 함. |
사운드바/리시버(앰프) 연결<br>(서브우퍼 전용 PRE-OUT 또는 LFE OUT) | 라인-레벨(통상 2 Vrms) 혹은 디지털→DAC→프리앰프 → LFE 필터 | 1) 리시버 내부 크로스오버가 80 Hz 이하 대역을 서브만으로 보내므로 20 ~ 30 Hz 에너지가 손실 없이 전달됩니다.<br>2) 전압 여유가 커 입력 감도 문제 없음.<br>3) 앰프/사운드바가 서브우퍼용 자동 EQ·룸보정(Dirac, YPAO 등)을 제공하면 초저음 재생이 더 정교해집니다. | 충분 — 같은 서브라도 체감 SPL(음압)이 더 커지고 S/N가 좋음. |
출력 단계
주파수 필터
왜곡·노이즈
정리: 20 ~ 30 Hz 같은 초저음에서 음질·볼륨 모두 리시버/사운드바(혹은 전용 프리앰프) → 서브우퍼 구성이 휴대폰 직결보다 유리합니다. 휴대폰 연결은 휴대용·간이 테스트용으로만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