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약 아랫집에서 화장실 천장 뚜껑을 열고 화장실 문 바로 위쪽 천장 시멘트에 25w 골전도...
Создано: 1 июня 2025 г.
Создано: 1 июня 2025 г.
만약 아랫집에서 화장실 천장 뚜껑을 열고 화장실 문 바로 위쪽 천장 시멘트에 25w 골전도 스피커를 부착해서 생활소음을 재생해서 윗집으로 생활소음을 보내고 있다고 할 때, 윗집에서 화장실 문 근처에서 나는 소음들을 줄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전에 비슷한 질문을 하니까 러그를 깔라고 했던 거 같은데 러그 같은 카페트를 까는 것이 흡음 효과가 뛰어난지? 깔아야 된다면 어느정도 면적을 깔아야 하나? 그냥 발매트정도의 크기로는 효과가 없을지? 차라리 돌가루 차음재를 화장실 문앞에 30cm x 50cm 크기로 여러겹 쌓아두면 어떤지? 그리고 화장실 문 안쪽에 흡음재를 부착해서 화장실 문 안쪽 바닥에서 올라오는 소리가 화장실 문을 너머 거실러 넘어오는 것을 차단하는 것도 효과가 있을까?
아랫집이 콘크리트 천장에 진동-스피커(골전도)를 붙여서 보내는 소음은 ‘구조 전달음(진동음)’ 성격이 강합니다.
효과를 내려면 두 가지를 동시에 고려해야 합니다.
질문 | 답변 요약 |
---|---|
러그(카펫)는 흡음 효과가 뛰어난가? | 중·고주파(사람 목소리, TV)의 공기음을 줄이는 데는 좋지만, 콘크리트 타고 올라오는 저주파·진동음에는 제한적입니다. |
어느 정도 면적을 깔아야 하나? | 문 앞 30 cm × 50 cm 발매트 수준은 체감 효과 거의 없습니다. 최소 문폭+양옆 30 cm, 벽에서 벽까지 길이(ex. 1 m × 1.5 m 이상)로 깔고, 두께 10 mm 이상 + 두툼한 고무/펠트 언더레이를 같이 써야 합니다. |
돌가루(모래) 차음재 여러 겹 쌓기? | 모래·돌가루 자체는 ‘질량이 큰 매트’라 효과는 있지만, 입자가 움직이며 틈 생기면 공진으로 오히려 저음이 새어나갑니다. 30×50 cm 패널 몇 장으로는 문틈 차단 효과 외엔 미미합니다. |
무거운 매트
– 질량이 큰 고무 시트(EPDM, MLV 3~5 kg/㎡) + 두툼한 카펫을 겹쳐 문앞 1 m² 이상 깔기.
– 바닥 진동을 조금 완화 + 내부 울림 감소 두 마리 토끼.
문 하부 기밀
– 자동 하강 도어 실(door drop seal), 혹은 U형 고무 브러시 실링을 달아 문틈 1 ~ 3 mm도 완전히 닫기.
– 구조음이 공기로 바뀌어 새어 나오는 ‘틈’이 가장 취약합니다.
방법 | 효과 | 팁 |
---|---|---|
문 안쪽에 흡음재(폴리에스터 흡음판 등) 붙이기 | 안쪽에서 생기는 반사·울림 ↓ → 화장실 내부가 조용해짐. 하지만 문 밖으로 이미 나온 구조음은 못 막음. | 두께 25 ~ 50 mm, 밀도 32 kg/㎥ 이상 제품 추천 |
문에 질량 보강 (MDF 패널+MLV 부착, 스틸 도어 교체 등) | 차음 성능 +5 ~ 8 dB 가능. 고주파뿐 아니라 저주파도 감소 | 무게 ↑ → 경첩 교체 고려 |
문틀·경첩에 방진 패드 | 문짝에 전해지는 진동 ↓ | 실리콘·네오프렌 패드 삽입 |
바닥·벽 접합부 실란트 보강
천장면에 ‘부동’ 흡음 패널
백색소음/워터폴 사운드
위 조합만으로도 체감상 3 ~ 6 dB(소리 크기 약 30 ~ 50 % 체감 감소) 정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완전 제거가 목표라면, 결국 아랫집 스피커 고정부 완충·흡진이 최선이니 관리사무소·이웃과 협의도 병행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