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에서 영업중인 모든 미용실의 전화번호, 상호명, 주소 정보를 알 수 있는 방법이 뭐가...

생성일: 2025년 11월 17일

답변에 사용된 모델 GPT-5.1 Thinking by Chat01

질문

고양시에서 영업중인 모든 미용실의 전화번호, 상호명, 주소 정보를 알 수 있는 방법이 뭐가 있을까?

사고

Providing conceptual answer while handling citations

The web search is having trouble with Korean encoding, but I can still answer using my own knowledge. Citations are tricky, though, since I need external sources when required. For this question, I could mention the Public Data Portal (data.go.kr) or explain it conceptually without a citation since it’s not directly quoting outside information.

Suggesting ways to gather salon info in Goyang

To get information on Goyang's active hair salons, I suggest downloading the CSV from the public data portal and filtering by "영업상태코드=영업" (active) and "미용업" (hair industry). If that doesn't meet needs, consider scraping Naver or Kakao Map data using their APIs, though it may have limitations and potential ethical concerns.

Suggesting ways to gather salon data legally

To find information on hair salons in Goyang, I suggest checking the public data portal for easily accessible and legally clean datasets. Other options include requesting data from local government via an information disclosure request, using business directories, or asking the Korea Hairdressers Association. It’s important to note that if you request data, be mindful of API limitations and duplication. Let me know if you prefer an API or just a spreadsheet.

Providing steps to access salon data

To find hair salon information in Goyang, follow these steps:

  1. Visit the public data portal (data.go.kr):

    • Create an account and search for "공중위생업소 인허가".
    • Download dataset (CSV/XLS) or use API.
  2. Filter the data by "경기도" and "고양시".

  3. Alternatively, use Kakao or Naver Local API for additional data.

Thought for 1m 8s

답변

고양시 미용실 전체 리스트를 최대한 완전하게 뽑고 싶다면, 현실적으로는 아래 4가지 루트가 있어요. (완전·최신한 “100%”는 어느 쪽이든 조금씩 한계가 있습니다.)


1. 공공데이터포털(data.go.kr) 인허가 데이터 활용 (가장 정석적인 방법)

보건소/지자체에서 관리하는 공중위생업소 인허가 데이터에 미용실이 포함돼요.

어떻게 찾냐면

  1. 공공데이터포털 회원가입 & 로그인
  2. 데이터셋 검색에서 아래 키워드로 검색
    • “공중위생업소 인허가”, “미용업 인허가” 등
  3. 보통 파일 다운로드(CSV/엑셀) 또는 Open API 두 가지 방식 제공
  4. 데이터 컬럼에 이런 정보들이 들어있는 경우가 많아요
    • 업소명(=상호)
    • 소재지 주소 / 도로명 주소
    • 전화번호
    • 업태/업종(미용업, 이발업, 숙박업 등)
    • 영업상태(영업, 폐업 등)
  5. 여기서 필터 조건을 걸면 됨
    • 시도명: 경기도
    • 시군구명: 고양시
    • 영업상태: 영업 또는 비슷한 코드 값
    • 업종/업태: 미용업 만 필터

장점 / 단점

  • ✅ 장점
    • 행정 인허가 기준이라 공식·법적인 리스트
    • 상호, 주소, 전화번호, 영업상태까지 한 번에 얻을 수 있음
  • ❌ 단점
    • 갱신 주기/품질에 따라 전화번호나 상호가 실제와 살짝 다를 수 있음
    • 포털과 데이터 구조를 처음 쓰면 조금 귀찮음(컬럼명, 코드값 이해 필요)

2. 경기도/고양시 자체 오픈데이터 포털

일부 지자체는 자체 열린데이터/빅데이터 포털에서
“미용업소 현황”, “공중위생업소 현황” 같은 파일을 따로 제공하기도 해요.

  • “고양시 열린데이터 포털”, “경기도 공공데이터 포털” 이런 식으로 검색해서
    • 미용, 공중위생, 미용업소 같은 키워드로 찾아보기
  • 형식은 보통 엑셀/CSV라서 바로 필터만 걸면 됩니다.

공공데이터포털에 없는 지역별 상세 데이터나 최신 자료를 보완용으로 쓰기 좋음.


3. 지도 서비스(API) 활용 (네이버/카카오 등)

“영업 중인” 곳을 실제 이용자 관점에서 최대한 찾으려면,
네이버 지도 / 카카오 지도 / 구글 지도 검색 결과를 쓰는 방법도 있어요.

(1) 그냥 쓰는 방법 (비개발자)

  • 네이버지도/카카오지도에서
    • “고양시 미용실” → 지도 상단/좌측 리스트를 엑셀로 수작업 정리
  • 정확히 “모든” 미용실을 보장하진 않지만,
    실제 영업 중이고 사람들이 검색하는 곳 위주로 꽤 많이 나옵니다.

(2) 개발자용 – API 활용해서 반자동 수집

단, 서비스 약관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무분별한 크롤링/스크래핑은 약관 위반일 수 있어요.)

  • 카카오 Local API
    • 키워드/카테고리로 장소 검색 가능
    • 카테고리 코드(예: 미용실/헤어샵 관련 코드)를 쓰고
    • 고양시 영역(좌표 박스/격자)을 여러 번 나눠서 호출 → 결과를 합치기
  • 네이버 검색/지역 API
    • “고양시 미용실” 같은 지역검색 결과에서
      상호, 주소, 전화번호를 JSON으로 받아 정리

이 방식은:

  • ✅ 장점:
    • 사용자들이 실제로 찾는 실질적인 영업점 위주
    • 리뷰, 평점 같은 부가 정보까지 수집 가능
  • ❌ 단점:
    • API 호출 제한, 약관 이슈
    • 고양시 전체를 커버하려면 좌표 구획 나누기, 중복 제거 등 구현이 필요

4. 고양시청에 정보공개청구(행정정보공개)

정말로 법적·행정적으로 등록된 ‘모든’ 미용업소 목록이 필요하다면,

  • 고양시청(위생과/보건소 담당 부서)에
    “고양시 관내 미용업 인허가 업소 현황(상호, 소재지, 전화번호, 영업상태)”
    에 대해 정보공개청구를 넣을 수 있어요.

이 방식의 특징

  • ✅ 장점
    • 가장 공식적인 출처
    • 원하는 형식(엑셀 등)으로 요청해볼 수 있음
  • ❌ 단점
    • 처리 기간이 필요 (통상 며칠~수주)
    • 개인정보/비공개 사유로 일부 항목(휴대폰 번호 등)이 가려질 수도 있음

정리하면

  1. 공공데이터포털 인허가 데이터로 1차 전체 리스트 확보
  2. 경기도/고양시 오픈데이터로 보완
  3. 필요하면 네이버/카카오 지도(또는 API) 로 최신 영업 여부·추가 매장 체크
  4. 법적·공식 용도라면 고양시청에 정보공개청구

이 조합이 사실상 “고양시에서 영업 중인 모든 미용실의 상호명·주소·전화번호”를
가장 현실적으로, 그리고 합법적으로 얻는 루트라고 보시면 됩니다.


혹시 이걸 엑셀로 정리해서 필터 거는 방법이나
카카오/네이버 API로 수집하는 예시 코드까지 보고 싶으면,
어떤 방식(엑셀/파이썬 등) 쓰실지 말해주시면 거기에 맞춰 바로 짜 드릴게요.

이 Q&A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