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약에 아파트에서 화장실의 천장 뚜껑을 열고 화장실 입구쪽과 가까운 천장에 25w 출력의 ...
생성일: 2025년 6월 10일
생성일: 2025년 6월 10일
만약에 아파트에서 화장실의 천장 뚜껑을 열고 화장실 입구쪽과 가까운 천장에 25w 출력의 진동스피커를 부착하여 '딱' , '쿵' , '뽀꾹' 등의 음원을 재생해서 위층으로 소음을 올려 보내는 경우 위층에서 화장실 벽(벽돌벽인지 뭔지 모르겠는데 얇고 소리가 울림) 과 화장실문 앞 거실바닥에서 들리는 소음을 막기 위해서 화장실 벽 앞에 2000mm x 1000m 9mm 두께의 mdf판에 2mm돌가루 차음재를 부착해서 돌가루차음재가 벽을 향하도록 세워둔 뒤 벽과 2.5cm 띄우고 그 사이를 폴리에스터흡음재(싸구려 충진재) 채운다면 벽에서 들리는 소음이 얼마나 줄어들까? 그리고 바닥에서 올라오는 소음은 2.5cm 두께 1000mm x500 mm 크기의 러그매트를 화장실 벽 앞 바닥에 깔아둔다면 얼마나 줄어들까? 각각 계산해서 알려줘
pythonfreqs = np.array([125,250,500,1000,2000,4000]) M = 11 # kg/m2 TL = 20*np.log10(freqs*M) - 43 TL array([19.76605396, 25.78665388, 31.80725379, 37.8278537 , 43.84845362, 49.86905353])
pythonTL_adj = TL + np.where(freqs>=250, 5, 0) TL_adj array([19.76605396, 30.78665388, 36.80725379, 42.8278537 , 48.84845362, 54.86905353])
| 1/3-oct. 중심주파수 | 질량 법칙으로 추정한 **전달손실(TL)**¹ | 25 mm 공기층·흡음재 보정(▲≈5 dB) | | |-------------------|-----------------------------|---------------------------------------| 실제 체감(벽면 소음 감소) | | 125 Hz | 20 dB | 20 dB | ≈ 5 dB ↓ | | 250 Hz | 26 dB | 31 dB | 8 - 10 dB ↓ | | 500 Hz | 32 dB | 37 dB | 10 - 12 dB ↓ | | 1 kHz | 38 dB | 43 dB | 12 - 15 dB ↓ | | 2 kHz 이상 | 44 - 55 dB | 49 - 60 dB | 15 dB 이상 ↓ |
계산 근거
한마디로: 말·TV 같은 공기전달음은 절반 ~ 1/4(10-15 dB) 정도 줄지만, “쿵” 같은 저주파 충격음은 눈에 띄게 줄이지 못한다.
한마디로: “딱” “쿵” 같은 충격음을 바닥 한가운데에서 완전히 잡기는 어려우며, 진동스피커처럼 구조로 타고 올라오는 저주파엔 효과가 미미하다.
대책 | 주파수대 | 기대 감소량 |
---|---|---|
MDF + MLV 보드 | ≥ 250 Hz | 8 - 15 dB |
≤ 125 Hz | ~ 5 dB | |
25 mm 러그 (0.5 m²) | 러그 바로 위 | 6 - 8 dB |
실내 평균 | 1 - 3 dB |
결론: 제안한 조치만으로는 위층에서 느끼는 구조-전달 저주파는 크게 줄이기 어렵고, 중·고주파 공기전달음에 한해 10 dB 안팎(반 ~ ¼ 수준) 개선이 현실적인 상한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