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약에 아파트에서 화장실의 천장 뚜껑을 열고 화장실 입구쪽과 가까운 천장에 25w 출력의 ...

생성일: 2025년 6월 10일

답변에 사용된 모델 O3 by Chat01

질문

만약에 아파트에서 화장실의 천장 뚜껑을 열고 화장실 입구쪽과 가까운 천장에 25w 출력의 진동스피커를 부착하여 '딱' , '쿵' , '뽀꾹' 등의 음원을 재생해서 위층으로 소음을 올려 보내는 경우 위층에서 화장실 벽(벽돌벽인지 뭔지 모르겠는데 얇고 소리가 울림) 과 화장실문 앞 거실바닥에서 들리는 소음을 막기 위해서 화장실 벽 앞에 2000mm x 1000m 9mm 두께의 mdf판에 2mm돌가루 차음재를 부착해서 돌가루차음재가 벽을 향하도록 세워둔 뒤 벽과 2.5cm 띄우고 그 사이를 폴리에스터흡음재(싸구려 충진재) 채운다면 벽에서 들리는 소음이 얼마나 줄어들까? 그리고 바닥에서 올라오는 소음은 2.5cm 두께 1000mm x500 mm 크기의 러그매트를 화장실 벽 앞 바닥에 깔아둔다면 얼마나 줄어들까? 각각 계산해서 알려줘

Python

python
freqs = np.array([125,250,500,1000,2000,4000]) M = 11 # kg/m2 TL = 20*np.log10(freqs*M) - 43 TL array([19.76605396, 25.78665388, 31.80725379, 37.8278537 , 43.84845362, 49.86905353])

Python

python
TL_adj = TL + np.where(freqs>=250, 5, 0) TL_adj array([19.76605396, 30.78665388, 36.80725379, 42.8278537 , 48.84845362, 54.86905353])

사고

Estimating insulation for rug and MLV

Our 25 mm rug may not cover the entire floor, but I can still estimate its impact based on available sources. One mentions that thicker rug pads improve insulation without giving specific numbers, which I’ll cite. I also found that carpet can increase IIC by 20-25 points against hard floors, which I’ll translate to a 6-10 dB improvement. Additionally, for MLV, stone powder mass-loaded vinyl (5 kg/m²) has a transmission loss of 22-36 dB and an STC of 26 across various frequencies.

Estimating noise reduction

When combined with 9mm MDF (approximately 6.5 kg/m²) and a 25mm air gap with absorption, I expect a 5-10 dB improvement, reaching a total of 30-45 dB TL in the speech frequency range. The actual reduction due to flanking effects will likely be lower, about 8-15 dB for wall noise. For the rug, it increases floor IIC by 6-10 points (6-10 dB). However, since the rug covers only 5% of the floor, overall noise reduction will be around 0.2 dB, but possibly higher near the rug. A small table will summarize these values with citations.

Thought for 1m 40s

답변

1) 화장실 벽 앞에 세운 MDF 9 mm + 돌가루 MLV 2 mm 차음보드

| 1/3-oct. 중심주파수 | 질량 법칙으로 추정한 **전달손실(TL)**¹ | 25 mm 공기층·흡음재 보정(▲≈5 dB) | | |-------------------|-----------------------------|---------------------------------------| 실제 체감(벽면 소음 감소) | | 125 Hz | 20 dB | 20 dB | ≈ 5 dB ↓ | | 250 Hz | 26 dB | 31 dB | 8 - 10 dB ↓ | | 500 Hz | 32 dB | 37 dB | 10 - 12 dB ↓ | | 1 kHz | 38 dB | 43 dB | 12 - 15 dB ↓ | | 2 kHz 이상 | 44 - 55 dB | 49 - 60 dB | 15 dB 이상 ↓ |

계산 근거

  • ● 돌가루 MLV(≈ 2 mm, 5 kg/m²) 단일 시트의 ASTM E-90 시험 TL: 22 dB@500 Hz → 36 dB@4 kHz jm.com
  • ● 9 mm MDF는 밀도 700 kg/m³ 기준 6.3 kg/m² calculatorshub.net
    ⇒ 합계 11 kg/m² → 질량법칙 TL ≈ 20 log₁₀(f · M) – 43
  • ● 25 mm 공기층+폴리에스터 흡음재를 넣으면 1 kHz 이상에서 4 - 6 dB 추가 확보 가능 (이중벽-스프링 효과).
  • ● 벽과 천장·바닥으로 우회(플랭킹)하는 구조-전달음이 남기 때문에 실내에서 실제로 느끼는 감소량은 중·고주파(>250 Hz)는 8 - 15 dB, 저주파는 5 dB 안팎으로 보는 것이 현실적이다.

한마디로: 말·TV 같은 공기전달음은 절반 ~ 1/4(10-15 dB) 정도 줄지만, “쿵” 같은 저주파 충격음은 눈에 띄게 줄이지 못한다.


2) 욕실문 앞 바닥에 25 mm 두께 러그 매트 1000 × 500 mm

  • 카펫류는 바닥충격음(IIC)을 5 - 10 포인트 ≈ 5 - 10 dB 개선한다는 시험결과가 일반적이다. zensoundproof.com soundproofcow.com
  • 하지만 매트가 바닥 전체가 아니라 0.5 m²만 덮을 경우, 파동이 주변 마루를 통해 우회하므로
    • 매트 바로 위에서 측정하면: 6 - 8 dB ↓
    • 욕실 벽 앞 1 m 떨어진 지점의 평균 레벨은 1 - 3 dB ↓ 정도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

한마디로: “딱” “쿵” 같은 충격음을 바닥 한가운데에서 완전히 잡기는 어려우며, 진동스피커처럼 구조로 타고 올라오는 저주파엔 효과가 미미하다.


실무 팁

  1. 벽면: MDF + MLV 판을 천장-바닥까지 빈틈 없이 세우고, 측면·상단도 실리콘으로 기밀 시공하면 추가 2-3 dB를 더 얻을 수 있다.
  2. 바닥: 러그 아래에 고중량 고무 패드(5 mm↑, 1 kg/m²↑) 를 전면敷 설치해야 체감 차이가 커진다. 부분 매트보단 바닥 전체를 덮는 방식(IIC ≥ 60 목표)이 현실적이다.
  3. 저주파(≤125 Hz) 는 가정용 보강만으로는 한계가 뚜렷하다. 스피커 진동 전달을 끊기 위해서는 스피커 자체를 방진대에 올리거나, 위층 바닥에 진동 차단 매트를 직접 설치하는 편이 확실하다.

예상 효과 요약

대책주파수대기대 감소량
MDF + MLV 보드≥ 250 Hz8 - 15 dB
≤ 125 Hz~ 5 dB
25 mm 러그 (0.5 m²)러그 바로 위6 - 8 dB
실내 평균1 - 3 dB

결론: 제안한 조치만으로는 위층에서 느끼는 구조-전달 저주파는 크게 줄이기 어렵고, 중·고주파 공기전달음에 한해 10 dB 안팎(반 ~ ¼ 수준) 개선이 현실적인 상한선이다.

이 Q&A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