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층에서 화장실 천장 뚜껑을 열고 천장 시멘트에 25w 출력의 골전도 스피커를 부착해서...
생성일: 2025년 6월 1일
생성일: 2025년 6월 1일
아래층에서 화장실 천장 뚜껑을 열고 천장 시멘트에 25w 출력의 골전도 스피커를 부착해서 '딱쿵', '콰앙' 같은 소음을 올려 보내서 윗층 화장실과 인접한 거실 바닥부터 시작해서 거실과 화장실을 나누는 벽을 타고 소음이 올라온다고 할 때, 이 소음을 줄이기 위해서 화장실 벽 앞에 0.7m x 1.8m 9mm 두께의 나무판자에 4mm돌가루 차음재를 부착해서 돌가루 차음재가 화장실 벽을 향하도록 거실에 세워둘려고 할 때, 벽과 2.5cm를 띄우는게 공기층을 형성해서 좋다고 들었는데 벽과 띄워봤자 양옆과 위가 뚫려있는데 의미가 있을지?
공기층(부틸·MLV 같은 차음재가 붙은 합판을 벽에서 띄워 “간격‐공기‐패널” 구조를 만드는 것)은 벽 전체를 완전히 밀폐하지 못하더라도 일정한 차음 효과를 줍니다. 단, 기대치를 현실적으로 잡아야 합니다.
구조 | 작동 원리 | 기대 효과 |
---|---|---|
질량-공기-질량 시스템 | 벽(콘크리트) ↔ 공기층 ↔ 합판+돌가루(추가 질량) | 두 고체 사이의 공기층이 ‘스프링’ 역할을 해 구조물 진동 전달을 일부 끊어 줍니다.<br>중·고주파(300 Hz 이상)에서는 5 dB 내외, 간혹 10 dB까지도 추가 감쇠를 얻을 수 있습니다. |
패널 질량 증가 | 4 mm 돌가루 차음재가 m²당 3–4 kg, 9 mm 합판이 5–6 kg → 합계 ≈ 8–10 kg/m² | 질량 2배↑마다 이론상 6 dB 차음 증가. 다만 저주파(50–200 Hz)에서는 효과가 제한적. |
핵심: 구조‐전달(진동) 성분은 크게 못 줄이고, 공기 중으로 복사되어 퍼지는 성분만 깎아 줍니다.
진동 디커플링
공기층 보강
패널 크기·연결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