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에 대한 최종 결정은 언제나 본인의 판단과 책임 하에 이뤄져야 하며, 제가 드리는 설명은 참고용 의견일 뿐이라는 점을 먼저 말씀드립니다.
아래는 질문 주신 최근 가격 흐름(3/3~3/11)을 간략히 정리해본 것입니다(금액 단위: ‘억 원’ 생략):
- 3/3: 약 14.3 → (고점)
- 3/4: 약 12.8
- 3/5: 약 13.3
- 3/6: 약 13.7
- 3/7: 12.8 → 13.4 사이 변동
- 3/8: 12.8 근처에서 횡보
- 3/10: 11.9 → 12.4로 반등
- 3/11: 11.4 저점 찍고 11.8까지 재상승 (현재 시점)
3월 3일에 14.3까지 찍은 뒤, 비교적 가파르게 내려와서(14.3 → 11.4) 중간중간 12.8~13.7 구간에서 반등을 시도했으나 지속 상승세를 이어가지 못하고 점차 저점을 낮춰온 흐름입니다.
현재(3/11) 시점에 11.4 → 11.8로 회복 중이지만, 전반적인 단기 추세(3/3 이후)를 보면 점진적으로 고점이 낮아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다만 3/10~3/11 구간에서 단기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반등이 나왔고, 일시적으로 추가 상승 여지가 있을 수는 있습니다.
단기적으로 지켜볼 주요 ‘저항 구간’ (즉, 단기 고점이 예상되는 구간)
-
12.0~12.3억대
- 이미 3/10 반등 시 12.4 정도까지 찍고 밀렸고, 현재 당신의 평단(12.3억)도 이 근처이므로 매물대가 두터울 수 있습니다. 이 구간을 돌파하는 순간 좀 더 탄력을 받을 수도 있지만, 일단 여기가 첫 번째 큰 장벽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12.8~13.0억대
- 3/4 이후로 여러 차례 12.8 근방에서 머무르거나 반등이 걸렸던 구간입니다. 여기까지 오른다면 심리적 저항이 꽤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과거 3/4, 3/7, 3/8에서 지지/저항 역할을 했던 지점이기 때문입니다.
-
13.3~13.4억대
- 3/5
3/7 구간에서 고점이 형성되었던 지점. 만약 12억대 초·중반을 가볍게 뚫고 상승 흐름이 꽤 강하게 이어진다면, 다시금 13억대 초반까지 갈 수 있습니다. 다만 전반적 시장 분위기가 빠르게 돌아서지 않으면, 12억 중반후반 구간에서부터 매도 물량이 상당히 많이 나올 가능성도 있습니다.
“얼마를 찍고 떨어질까?” 에 대한 의견
- 단기적으로(당장 며칠
12주)의 고점 가능성은 12.0~12.3억, 그리고 그 위로 12.8억 안팎 정도가 가장 먼저 확인해볼 만한 구간으로 보입니다.
- 만약 시장 심리가 좋아져서 해당 구간을 돌파한다면, 13.0~13.4 정도까지도 열려 있을 수 있으나, 최근 고점(14.3)에서 크게 내려왔고, 일일 변동 폭이 커진 상황이라 상승분을 전부 되돌리는 ‘강한 조정’이 다시 나올 위험도 있습니다.
- 다시 말해 단기 고점은 12억대 초·중반 또는 운 좋으면 13억대 초반 정도를 예상해볼 수 있으나, 가파르게 오를 경우 그만큼 빠르게 되밀릴 수 있으니 유의가 필요합니다.
당신의 평단(12.3억) 관점에서 유의해야 할 점
- 단기 회복 시점에서 익절(또는 본전 근접 매도)을 노린다면, 12억 초중반 이후로 나온 매물들을 이겨내고 더 올라가야 하니, 치열한 공방이 펼쳐질 수 있습니다.
- 만약 현재 떨어지는 추세에서 ‘장기 보유’를 염두에 두고 있다면, 시장이 확실히 반전할 때까지 기다리는 전략도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중간중간 하락 변동성을 견뎌야 한다는 부담이 큽니다.
정리
- 단기적으로는 12억 초중반(±12.0~12.3) 근처를 1차 저항 구간으로 볼 수 있고, 거기를 강하게 뚫으면 다음 목표치는 12.8~13.0 전후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현재 추세가 과거 14.3억에서부터 낮아지는 형태이므로, 급등 후 조정이 빨리 올 수 있다는 점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투자는 어디까지나 불확실성을 전제로 합니다. 말씀드린 구간과 흐름은 지금까지의 가격 패턴과 시장 심리를 바탕으로 ‘가능성이 높아 보이는 시나리오’를 제시한 것입니다. 꼭 실제 매매 시에는 원금 손실 가능성, 시장 뉴스·유동성·거래량 등 종합적인 요소를 함께 고려해보시길 권장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