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소수열 수렴점 존재 여부

생성일: 2024년 12월 23일

답변에 사용된 모델 OpenAI 01 by OpenAI01

질문

X를 strict total order 가 주어진 임의의 집합이라 하자. X는 무한집합이고, 조밀하다. X의 원소들로 구성된 수열 s_1, s_2, s_3, ... 가 임의의 자언수 n에 대해 s_(n+1) < s_n 을 만족하면 해당 수열을 감소수열라 하고, X의 원소 L 가 집합 {s_1, s_2, s_3, ...} 의 최대 하계이면 L을 해당 수얼의 수렴점이라 한다. X의 임의의 원소에 대해, 해당 원소를 수렴점으로 갖는, X의 원소들로 구성된 감소수열이 존재하는가?

사고

Investigating sequences

I’m looking into a strictly totally ordered set X with infinite elements and a dense nature. The focus is on creating a decreasing sequence s_n in X, where L is the greatest lower bound of the set { s_n }.

Potential sequence findings

I'm assessing if an infinite, totally ordered, and dense set X always includes a decreasing sequence with a specific element L as inf. This mirrors properties of unbounded sets like the real numbers.

Crafting a sequence

I’m mapping out a strictly decreasing sequence s_n in a dense, ordered set X, ensuring L is the greatest lower bound by strategically selecting elements greater than L but less than successive elements.

Crafting alternatives

If L isn't the largest element, I can construct a strictly decreasing sequence approaching L from above, thanks to X being infinite and dense.

Formulating the sequence

Given L in X, I’m thinking about constructing a strictly decreasing sequence s_n where each s_n > L and s_{n+1} < s_n, ensuring L is the greatest lower bound. X's density allows this progression through the elements.

7초 동안 Thought about 감소수열의 수렴점 존재 여부

답변

결론부터 말하자면, 답은 “네, 존재한다(Yes)”입니다.
아래에서는 왜 그러한 감소수열이 항상 구성될 수 있는지에 대해 간단한 스케치를 제공합니다.


문제 설정

  • XXstrict total order(전순서)이 주어져 있는 무한 집합이며, 순서에 대해 조밀(dense) 하다.
    • 즉, 임의의 x,yXx, y \in X에서 x<yx < y라면, 그 둘 사이에 위치하는 원소 zz가 반드시 XX 안에 존재한다.
  • 우리는 임의의 αX\alpha \in X에 대하여, α\alpha수렴점(=최대 하계)으로 갖는, XX의 원소들로 이루어진 감소수열 (sn)(s_n) (즉, s1>s2>s3>s_1 > s_2 > s_3 > \dots)이 존재하는지 묻고 있다.

결국 보이고자 하는 바는:

임의의 αX\alpha \in X에 대하여,

s1>s2>s3>이면서inf{sn:nN}=αs_1 > s_2 > s_3 > \dots \quad\text{이면서}\quad \inf\{\,s_n : n \in \mathbb{N}\} = \alpha

를 만족하는 수열 (sn)X(s_n)\subset X을 구성할 수 있는가?


아이디어

조밀성(denseness)은 “두 점 사이에 항상 새로운 점을 넣을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단계적 구성(constructive approach) 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1. 시작점 잡기:
    αX\alpha \in X를 골랐을 때, 우선 α\alpha보다 큰 어떤 원소 s1Xs_1 \in X를 하나 선택합니다.

    • 만약 α\alpha가 집합 XX의 최대 원소라면(즉, α\alpha 위에 다른 원소가 없다면) 이런 과정 자체가 불가능할 것입니다. 그러나 문제에서 그러한 극단적인 경우를 배제한다면(혹은 XX가 그런 최대 원소를 갖지 않는다고 가정하거나, 갖더라도 그 원소가 문제의 α\alpha가 아니라면), s1s_1을 잡는 것은 가능합니다.
  2. 단계별로 점 삽입:
    이미 sns_n을 구했다면, 조밀성으로 인해 α\alphasns_n 사이에는 항상 새로운 점을 넣을 수 있습니다. 즉,

    α<snα<z<sn 인 zX 존재\alpha < s_n \quad\Longrightarrow\quad \alpha < z < s_n \ \text{인 } z \in X \text{ 존재}

    이므로, 그 zz 중에서 하나를 골라 **sn+1s_{n+1}**으로 삼습니다. 그러면

    α<sn+1<sn\alpha < s_{n+1} < s_n

    을 만족하게 됩니다. 이렇게 하면 (sn)(s_n)은 자연스럽게 감소수열이 됩니다.

  3. α\alpha가 이 수열의 ‘최대 하계(수렴점)’가 됨을 확인:
    위 과정을 무한히 반복해서 얻은 수열 (sn)(s_n)에 대해,

    • α\alpha보다 작은 하계는 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모든 sns_nα\alpha보다 크도록 골랐기 때문입니다.
    • 만약 α\alpha보다 더 큰 어떤 값 β\beta가 모든 sns_n의 하계가 되려면(βsn\beta \le s_n for all nn), 이는 모순입니다. 왜냐하면 “α\alphaβ\beta 사이에도(조밀성 때문에) 더 작은 값을 골라 나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즉, β\beta를 하계로 만들기에는 β\beta 바로 아래로 계속 내려갈 수 있으므로 β\beta가 하계가 될 수 없습니다.

결국 α\alpha(sn)(s_n)가장 큰 하계(=infimum) 가 됩니다.


정리

위의 과정은 XX무한 집합이면서 동시에 조밀한 전순서를 갖고 있음을 본질적으로 사용했습니다.

  • 무한집합이므로, “더 작은(또는 더 큰) 점을 무한히 골라낼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합니다.
  • 조밀성이 없으면, 예컨대 “α\alpha의 바로 다음 원소(successor)가 존재”해서 그 사이가 비어있을 수도 있으므로, 매 단계 점을 더 집어넣는 과정이 불가능해질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임의의 αX\alpha \in X에 대해 α\alpha를 최대 하계로 갖는 감소수열 (sn)X(s_n)\subset X가 항상 존재함을 알 수 있습니다.

결론: “네. XX의 임의의 원소 α\alpha에 대해, α\alpha를 수렴점(최대 하계)으로 하는 감소수열을 만들 수 있다.”

이 Q&A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