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 미용실 전체 리스트를 최대한 완전하게 뽑고 싶다면, 현실적으로는 아래 4가지 루트가 있어요. (완전·최신한 “100%”는 어느 쪽이든 조금씩 한계가 있습니다.)
1. 공공데이터포털(data.go.kr) 인허가 데이터 활용 (가장 정석적인 방법)
보건소/지자체에서 관리하는 공중위생업소 인허가 데이터에 미용실이 포함돼요.
어떻게 찾냐면
- 공공데이터포털 회원가입 & 로그인
- 데이터셋 검색에서 아래 키워드로 검색
- “공중위생업소 인허가”, “미용업 인허가” 등
- 보통 파일 다운로드(CSV/엑셀) 또는 Open API 두 가지 방식 제공
- 데이터 컬럼에 이런 정보들이 들어있는 경우가 많아요
- 업소명(=상호)
- 소재지 주소 / 도로명 주소
- 전화번호
- 업태/업종(미용업, 이발업, 숙박업 등)
- 영업상태(영업, 폐업 등)
- 여기서 필터 조건을 걸면 됨
- 시도명:
경기도
- 시군구명:
고양시
- 영업상태:
영업 또는 비슷한 코드 값
- 업종/업태:
미용업 만 필터
장점 / 단점
- ✅ 장점
- 행정 인허가 기준이라 공식·법적인 리스트
- 상호, 주소, 전화번호, 영업상태까지 한 번에 얻을 수 있음
- ❌ 단점
- 갱신 주기/품질에 따라 전화번호나 상호가 실제와 살짝 다를 수 있음
- 포털과 데이터 구조를 처음 쓰면 조금 귀찮음(컬럼명, 코드값 이해 필요)
2. 경기도/고양시 자체 오픈데이터 포털
일부 지자체는 자체 열린데이터/빅데이터 포털에서
“미용업소 현황”, “공중위생업소 현황” 같은 파일을 따로 제공하기도 해요.
- “고양시 열린데이터 포털”, “경기도 공공데이터 포털” 이런 식으로 검색해서
미용, 공중위생, 미용업소 같은 키워드로 찾아보기
- 형식은 보통 엑셀/CSV라서 바로 필터만 걸면 됩니다.
공공데이터포털에 없는 지역별 상세 데이터나 최신 자료를 보완용으로 쓰기 좋음.
3. 지도 서비스(API) 활용 (네이버/카카오 등)
“영업 중인” 곳을 실제 이용자 관점에서 최대한 찾으려면,
네이버 지도 / 카카오 지도 / 구글 지도 검색 결과를 쓰는 방법도 있어요.
(1) 그냥 쓰는 방법 (비개발자)
- 네이버지도/카카오지도에서
- “고양시 미용실” → 지도 상단/좌측 리스트를 엑셀로 수작업 정리
- 정확히 “모든” 미용실을 보장하진 않지만,
실제 영업 중이고 사람들이 검색하는 곳 위주로 꽤 많이 나옵니다.
(2) 개발자용 – API 활용해서 반자동 수집
단, 서비스 약관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무분별한 크롤링/스크래핑은 약관 위반일 수 있어요.)
- 카카오 Local API
- 키워드/카테고리로 장소 검색 가능
- 카테고리 코드(예: 미용실/헤어샵 관련 코드)를 쓰고
- 고양시 영역(좌표 박스/격자)을 여러 번 나눠서 호출 → 결과를 합치기
- 네이버 검색/지역 API
- “고양시 미용실” 같은 지역검색 결과에서
상호, 주소, 전화번호를 JSON으로 받아 정리
이 방식은:
- ✅ 장점:
- 사용자들이 실제로 찾는 실질적인 영업점 위주
- 리뷰, 평점 같은 부가 정보까지 수집 가능
- ❌ 단점:
- API 호출 제한, 약관 이슈
- 고양시 전체를 커버하려면 좌표 구획 나누기, 중복 제거 등 구현이 필요
4. 고양시청에 정보공개청구(행정정보공개)
정말로 법적·행정적으로 등록된 ‘모든’ 미용업소 목록이 필요하다면,
- 고양시청(위생과/보건소 담당 부서)에
“고양시 관내 미용업 인허가 업소 현황(상호, 소재지, 전화번호, 영업상태)”
에 대해 정보공개청구를 넣을 수 있어요.
이 방식의 특징
- ✅ 장점
- 가장 공식적인 출처
- 원하는 형식(엑셀 등)으로 요청해볼 수 있음
- ❌ 단점
- 처리 기간이 필요 (통상 며칠~수주)
- 개인정보/비공개 사유로 일부 항목(휴대폰 번호 등)이 가려질 수도 있음
정리하면
- 공공데이터포털 인허가 데이터로 1차 전체 리스트 확보
- 경기도/고양시 오픈데이터로 보완
- 필요하면 네이버/카카오 지도(또는 API) 로 최신 영업 여부·추가 매장 체크
- 법적·공식 용도라면 고양시청에 정보공개청구
이 조합이 사실상 “고양시에서 영업 중인 모든 미용실의 상호명·주소·전화번호”를
가장 현실적으로, 그리고 합법적으로 얻는 루트라고 보시면 됩니다.
혹시 이걸 엑셀로 정리해서 필터 거는 방법이나
카카오/네이버 API로 수집하는 예시 코드까지 보고 싶으면,
어떤 방식(엑셀/파이썬 등) 쓰실지 말해주시면 거기에 맞춰 바로 짜 드릴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