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층에서 화장실 천장 뚜껑을 열고 천장 시멘트에 25w 출력의 골전도 스피커를 부착해서 ...
Creado el: 1 de junio de 2025
Creado el: 1 de junio de 2025
아래층에서 화장실 천장 뚜껑을 열고 천장 시멘트에 25w 출력의 골전도 스피커를 부착해서 '딱쿵', '콰앙' 같은 소음을 올려 보내서 윗층 화장실과 인접한 거실 바닥부터 시작해서 거실과 화장실을 나누는 벽을 타고 소음이 올라온다고 할 때, 이 소음을 줄이기 위해서 화장실 벽 앞에 0.7m x 1.8m 9mm 두께의 나무판자에 4mm돌가루 차음재를 부착해서 돌가루 차음재가 화장실 벽을 향하도록 거실에 벽과 2.5cm를 띄워서(공기층) 세워두고 양 옆과 윗부분의 틈을 흡음재로 막고 안에는 폴리에스터 흡음재로 채우면 db이 대략 얼마나 감소될까?
pythonimport math, json, sys
1/1-옥타브 중심주파수 | 125 Hz | 250 Hz | 500 Hz | 1 kHz 이상 |
---|---|---|---|---|
예상 감쇠량* (dB) | 0 – 2 | 3 – 5 | 8 – 10 | 10 – 15 |
* 감쇠량은 기존 벽(타일 붙은 150 mm 콘크리트 내지 블록)만 있을 때와, 질문에서 제시한 나무판(9 mm)+돌가루 차음재(4 mm) 방음 보드를 25 mm 공기층을 두고 세웠을 때를 비교한 _삽입손실_입니다. 실제 체감치는 방별·시공상태·결로 틈새 등에 따라 ±3-5 dB 정도 달라질 수 있습니다.
구성 | 표면질량 m (kg/m²) |
---|---|
9 mm 합판(ρ≈600 kg/m³) | 0.009 m × 600 ≈ 5.4 |
4 mm 돌분사 차음재(MLV ρ≈1800 kg/m³) | 0.004 m × 1800 ≈ 7.2 |
합계 | ≈ 12.6 kg/m² |
단일 판(질량법)
TL ≈ 20 log₁₀(m f) − 47 dB
→ 100 Hz 15 dB, 500 Hz 29 dB, 1 kHz 35 dB strutt.arup.com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이중 구조(질량-스프링-질량)
25 mm 공기층이 스프링 역할을 하며 공진주파수
f₀ ≈ 160 / √(m d) ≈ 160 / √(12.6 × 0.025) ≈ 280 Hz
· f < f₀ 구간: 개선효과 미미 (0-2 dB)
· f ≈ f₀: 최저치(“우퍼 구간”)
· f ≫ f₀: 단순 질량법보다 추가로 4-6 dB 가산
실제 삽입손실은 위 질량-스프링-질량 모델값에서
① 벽-보드 사이 기밀 처리, ② 측경로(천장·마루) 우회 전달,
③ 구조진동(골전도) → 공기음 변환 효율 등을 고려해 -2 ~ -5 dB를 보수적으로 빼서 표에 제시했습니다.
구조 전달음
25 W 골전도 스피커가 콘크리트 슬래브를 직접 진동시키기 때문에, 진동이 바닥·벽체 전체로 퍼진 뒤 공기 중으로 재복사됩니다. 받는 쪽 벽 앞에 아무리 무거운 판을 세워도 진동 자체는 이미 실내 바닥·천장에서도 복사되므로 저주파 “쿵쿵” 성분은 크게 못 줄입니다.
질량 한계
질량법에 따르면 표면질량을 2배 늘려야 모든 주파수에서 6 dB 향상합니다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현재 12.6 kg/m²는 일반 9.5 mm 석고보드(≈8 kg/m²)에 비해 1.5배 정도에 불과합니다.
좁은 공기층
25 mm는 시공이 쉬운 대신 공진주파수가 300 Hz 부근으로 비교적 높아, “쿵” 같은 100-200 Hz 영역에서는 효과가 작습니다. (공기층을 75-100 mm로 키우면 저주파 감쇠가 2-3 dB 추가되지만, 두께·무게·가격이 늘어납니다) megasorber.com
귀로 느끼는 ‘시끄러움’은 10 dB 감소마다 대략 절반으로 느껴집니다. 따라서 이번 보드만으로는 발코니 난간을 치거나 바닥을 두드리는 구조음원 을 획기적으로 막지는 못합니다.
방법 | 기대 효과 | 비고 |
---|---|---|
접촉부 차단(진동격리 패드·고무 몰딩) | 구조 진동 자체를 줄여 저주파 감쇠 ↑ | 아래층 협조 필요 |
바닥-천장면 방진매트 + 카페트 | 바닥 복사음을 3-6 dB 더 감소 | 생활소음 완화 |
보드 두께·질량 강화 (18 mm 합판 + 2 mm MLV 2 lb/ft²) | 중고주파 6-8 dB 추가 | 무게·가격 ↑ |
공기층 확대(75-100 mm) + 흡음재 충전 | 공진주파수 ↓ → 125-250 Hz 3-5 dB 추가 | 공간 차지 |